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은 전 세계 마라토너들이 기록 단축을 위해 애용하는 대표적인 인터벌 훈련입니다. 마라톤 완주 목표가 있다면,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을 체계적으로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기록 향상은 물론 체력과 스피드까지 고루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의 개념과 원리, 실전 적용법, 주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안내합니다.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이란?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은 미국 러너 바트 야소(Bart Yasso)가 고안한 마라톤 인터벌 훈련법으로, 800m 러닝과 동일 시간의 회복 조깅을 번갈아 실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은 마라톤 목표 기록 예측과 훈련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마라토너들 사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마라톤 훈련 중 제일 힘든 '야소 800'
풀 마라톤 도전하다 | 전력 질주 모습 '야소 800'을 아시나요? 마라톤 훈련 중 지금까지 최고로 힘든 훈련을 했습니다. 이름하여 '야소 800' 훈련입니다. '야소 800, 야소 800'이라는 말을 많이 듣고 유
brunch.co.kr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 어떻게 진행할까?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의 기본은 800m를 전력에 가까운 강도로 달린 뒤, 800m를 같은 시간 동안 천천히 회복 조깅하며 반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800m를 3분 30초에 달린다면, 그다음 800m는 3분 30초 동안 조깅하며 회복합니다.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은 마라톤 대회 2~3개월 전부터 주 1회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의 구성
- 800m 전력질주(목표 마라톤 기록 시간에 맞춘 페이스)
- 800m 회복 조깅(800m 달린 시간과 동일하게 회복)
- 이 과정을 6~10회 반복(초보자는 4~6회, 상급자는 8~10회)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을 처음 시작하는 러너라면 4회 반복으로 시작하여 점차 횟수를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훈련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과 워밍업, 쿨다운을 잊지 마세요.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으로 예측하는 마라톤 기록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의 가장 큰 매력은 자신의 마라톤 목표 기록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800m를 3분 30초에 10회 소화할 수 있다면, 마라톤을 3시간 30분에 완주할 수 있는 체력을 갖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은 목표 설정과 동기부여에도 탁월한 훈련법입니다.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 실전 적용 팁
- 트랙, 운동장, 평지 등 800m 거리가 확보된 곳에서 실시
- 훈련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 필수
- 초보자는 4회부터, 점차 횟수와 강도를 올릴 것
- 페이스를 지나치게 빠르게 설정하지 않기
- 훈련 중 무리한 질주는 부상 위험, 호흡에 신경쓸 것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을 할 때는 자신의 컨디션에 맞춰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표 기록에 가까운 페이스를 유지하되, 중간에 무리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 주의사항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은 강도 높은 운동이므로, 체력에 자신이 없거나 장거리 달리기 경험이 적다면 반드시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합니다. 무리하게 반복 횟수를 늘리거나 페이스를 빠르게 설정하면 근육 피로와 부상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결론: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 기록 단축의 지름길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은 체력과 스피드를 동시에 향상시키며, 자신의 마라톤 목표 기록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최고의 훈련법 중 하나입니다. 꾸준히 실천하면 분명 달라진 기록과 체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야소 800 인터벌 훈련법을 통해 나만의 마라톤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가 보세요.